All ContentsCategoryAbout

Node.js TIL 04

11 October, 2020 - Node - 5 min read

TDD로 만드는 Node.js API 서버

테스트 주도 개발(TDD)

실제 동작하는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앞서 요구사항이 충분히 갖추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는 방식의 개발 방법론이다. 테스트 코드 작성 이후에 작성되는 구현 코드는 당연히 테스트에 통과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만 하며, 테스트에 통과하는 스펙을 갖춘 뒤에는 리펙토링을 반복하여 코드의 효율성과 가독성을 발전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다.

Node.js에서의 TDD

Node.js에서는 테스트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라이브러리를 주로 사용한다.

참고:

Mocha

모카(mocha)는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주는 테스트 러너(Test Runner) 이고, 테스트 수트(Test Suite) 는 테스트 환경을 의미하며 모카에서는 describe()로 구현한다.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는 실제 테스트를 말하며 모카에서는 it()으로 구현한다.

환경 구성

npm install mocha --save-dev로 모카를 설치한 뒤 손쉽게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package.json의 스크립트를 아래와 같이 수정하는 것이 좋다.

  "scripts": {
    "test": "mocha"
  },

테스트 코드의 구성

모카를 활용한 테스트 코드의 기본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const assert = require("assert")

describe("Array", () => {
  describe("#indexOf()", () => {
    it("should return -1 when the value is not present", () => {
      assert.strictEqual([1, 2, 3].indexOf(4), -1)
    })
  })
})

단정문 작성을 위해 assert 모듈을 가져온 뒤, describe() 메서드로 테스트 수트를 만들고, it() 메서드로 테스트 케이스를 만든다. 그리고, 단정문을 작성하여 결과를 검증한다. 간단히 부가설명을 하자면, 외부의 테스트 수트는 넓은 범위의 테스트 목적이라고 볼 수 있고, 내부의 테스트 수트는 보다 구체적인 느낌의 테스트 소제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테스트 케이스는 실제로 검증해야 하는 가장 구체적인 테스트 내용이 자리한다. 코드에서 볼 수 있듯 각 메서드의 첫 번째 파라미터는 해당 규모의 테스트가 진행되는 목적을 설명하고 있다.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터미널에 npm test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테스트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with-tdd@1.0.0 test /Users/jeongsooyoung/Desktop/etc/node-with-tdd
> mocha



  Array
    #indexOf()
      ✓ should return -1 when the value is not present


  1 passing (3ms)

그리고, strictEqual()의 두 번째 파라미터에는 기대값이 들어가는데, 이 곳의 값을 -1이 아닌 1로 변경한 뒤 다시 테스트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실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with-tdd@1.0.0 test /Users/jeongsooyoung/Desktop/etc/node-with-tdd
> mocha



  Array
    #indexOf()
      1) should return -1 when the value is not present


  0 passing (6ms)
  1 failing

  1) Array
       #indexOf()
         should return -1 when the value is not present:

      AssertionError [ERR_ASSERTION]: Expected values to be strictly equal:

-1 !== 1

      + expected - actual

      --1
      +1

      at Context.<anonymous> (test/test.js:6:14)
      at processImmediate (internal/timers.js:456:21)



npm ERR! Test failed.  See above for more details.

test directory

Mocha 공식문서에서는 test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테스트 코드를 이곳에 모아두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는 테스트의 편의성을 위함인데, 이렇게 했을 때 npm test 명령어만으로도 Mocha가 알아서 테스트 코드를 찾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test 디렉토리를 생성하지 않고 구현 코드가 담긴 파일과 섞여 있다면, 아래와 같이 Mocha의 경로를 찾아 해당 테스트 코드의 파일명을 적어야 테스트가 실행된다.

node_modules/.bin/mocha utils.spec.js

Should.js

테스트 코드 작성 시 Node.js에서 제공되는 assert모듈 대신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검증(assertion) 라이브러리인 Should.js다.

Should.js는 BDD(Behavior Driven Development) 스타일의 Assertion 라이브러리 로써 마치 일반 문장을 읽는 듯 표현적이고 가독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const should = require("should")
const utils = require("../utils")

describe("utils.js module's capitalize() is...", () => {
  it("capitalize first letter of string", () => {
    const result = utils.capitalize("hello")
    // assert.strictEqual(result, 'Hello'); -> Node.js의 assertion
    result.should.be.equal("Hello") // -> Should.js의 assertion
  })
})

참고:

superTest

위의 테스트들은 함수의 기능을 테스트하는 단위 테스트(Unit Test) 였지만, superTest를 통해 진행하는 테스트는 API의 기능을 테스트하는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다. superTest는 익스프레스 통합 테스트용 라이브러리로써 내부적으로 익스프레스 서버를 구동시켜 실제 요청을 보낸 뒤 결과를 검증한다.

// example
const request = require("supertest")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get("/user", function (req, res) {
  res.status(200).json({ name: "john" })
})

request(app)
  .get("/user")
  .expect("Content-Type", /json/)
  .expect("Content-Length", "15")
  .expect(200)
  .end(function (err, res) {
    if (err) throw err
  })

superTest로 API 테스트 해보기

앞에서 만들었던 /users API가 제대로 작동하는 지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코드를 superTest로 만들어보자.

// index.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morgan = require("morgan")

const users = [
  { id: 1, name: "Tom" },
  { id: 2, name: "Jane" },
  { id: 3, name: "Mike" },
]

app.use(morgan("dev"))

app.get("/users", (req, res) => {
  res.json(users)
})

app.listen(3000, () => {
  console.log("server start")
})

module.exports = app

기존의 index.js에서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으나, 테스트가 진행되는 index.spec.js에서 불러와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이 app을 모듈로써 export 한다.

// index.spec.js
const app = require("../index")
const request = require("supertest")

describe("GET /users is", () => {
  it("...", (done) => {
    request(app)
      .get("/users")
      .end((err, res) => {
        console.log(res.body)
        done()
      })
  })
})

그리고, index.spec.jsindex.jssupertest를 불러온 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와 다른 점이라면, supertest 모듈을 할당한 request 함수를 사용하며, 요청 형식(METHOD)가 체이닝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요청 후 응답값이 end() 메서드의 인자로 들어온다.

또한, Node.js로 만든 서버는 비동기로 동작하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 역시 비동기 처리를 해줘야 하는데, 의외로 간단하다. it() 함수의 두 번째 파라미터로 들어오는 콜백함수의 인자로 done을 넣어주고, 처리가 끝나는 마지막에 done()을 호출해주면 이것으로 비동기 처리가 끝난다.

npm test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서버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요청한 뒤 받아오는 것을 볼 수 있다.

> with-tdd@1.0.0 test /Users/jeongsooyoung/Desktop/etc/node-with-tdd
> mocha

server start


  GET .users is
GET /users 200 1.639 ms - 69
[
  { id: 1, name: 'Tom' },
  { id: 2, name: 'Jane' },
  { id: 3, name: 'Mike' }
]...


  1 passing (19ms)

참고:

© 2023 intzzzero, Built with

Gatsby